파이썬은 자료형을 따로 정의하지 않고, 변수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언어입니다. 변수의 값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의 공간에 할당됩니다. 변수를 사용하면 코드를 읽고 수정하기가 쉽습니다.

변수는 변수이름, 값, 자료형으로 구성됩니다. 변수이름은 변수가 참조하는 값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값은 변수가 참조하는 실제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자료형은 변수가 참조하는 값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 예시 
name = 'John' # name이라는 변수에 "John"이라는 문자열을 할당했습니다. 
age = 15 # age라는 변수에 15라는 정수를 할당했습니다.

print(name) # John
print(age) # 15

지역변수

지역변수는 함수 내에서 사용되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함수 내에서 정의되면 해당 함수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 밖에서 정의된 변수는 함수 내에서 참조할 수 없습니다. 즉, 지역변수는 함수 내에서 정의되며 함수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def greet():
  name = 'John' # name이라는 지역변수가 정의되었습니다.
  print('Hello, ' + name) 

greet() # Hello, John

print(name) # 에러 발생. NameError: name 'name' is not defined

전역변수

전역변수는 함수 밖에서 정의되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전역변수는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전역변수는 함수 밖에서 정의되며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name = 'John' # name이라는 전역변수가 정의되었습니다.

def greet():
  print('Hello, ' + name) 

greet() # Hello, John

print(name) # John

파이썬의 변수는 크게 지역변수, 전역변수로 나뉩니다. 각각의 변수는 할당되는 값과 사용 범위가 다르므로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를 읽고 수정하기가 쉽고, 실행 결과가 원하는 결과와 일치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