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for loop 문은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한 기능입니다. for loop 문은 iterable 객체(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의 각 요소에 대해 코드 블록을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는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출력합니다.

numbers = [1, 2, 3, 4, 5]  
for num in numbers:  
    print(num)

이때 for loop 문은 numbers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인 1부터 마지막 요소인 5까지 순서대로 num 변수에 할당하고 print(num)을 실행합니다. 따라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for loop 문을 사용할 때 index(인덱스)라는 개념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index란 iterable 객체의 각 요소가 위치한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 값입니다. 파이썬에서 index는 0부터 시작하므로 첫 번째 요소의 index는 0이고 두 번째 요소의 index는 1입니다. index를 사용하면 iterable 객체의 특정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는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와 마지막 요소를 출력합니다.

numbers = [1, 2, 3, 4, 5]  
print(numbers[0]) # 첫 번째 요소  
print(numbers[-1]) # 마지막 요소

이때 numbers[0]은 numbers 리스트의 index가 0인 요소를 의미하고 numbers[-1]은 numbers 리스트의 index가 -1인 요소를 의미합니다. 파이썬에서 음수 index는 뒤에서부터 셀 때 사용되므로 -1은 마지막 요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5

 

for loop 문에서 index를 사용하려면 range() 함수나 enumerate()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range() 함수는 주어진 범위의 정수 값을 생성하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range(5)는 0부터 4까지의 정수 값을 생성합니다. range() 함수를 for loop 문과 함께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index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numbers = [1, 2, 3, 4, 5]  
for i in range(len(numbers)): # len(numbers)는 numbers 리스트의 길이(요소 개수)를 나타냅니다.  
    print(i)

이때 for loop 문은 range(len(numbers))가 생성하는 정수 값들을 순서대로 i 변수에 할당하고 print(i)를 실행합니다. 따라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0
1
2
3
4

 

range() 함수와 함께 index를 사용하면 iterable 객체의 특정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는 리스트의 각 요소에 10을 더한 값을 출력합니다.

numbers = [1, 2, 3, 4, 5]  
for i in range(len(numbers)):  
    print(numbers[i] + 10)

이때 for loop 문은 range(len(numbers))가 생성하는 정수 값들을 순서대로 i 변수에 할당하고 print(numbers[i] + 10)을 실행합니다. 이때 numbers[i]는 numbers 리스트의 index가 i인 요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1
12
13
14
15

 

enumerate() 함수는 iterable 객체의 각 요소와 그에 해당하는 index를 튜플 형태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enumerate(numbers)는 (0, 1), (1, 2), (2, 3), (3, 4), (4, 5)와 같은 튜플들을 생성합니다. enumerate() 함수를 for loop 문과 함께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index와 요소를 동시에 반복할 수 있습니다.

numbers = [1, 2, 3, 4, 5]  
for i, num in enumerate(numbers):  
    print(i, num)

이때 for loop 문은 enumerate(numbers)가 생성하는 튜플들을 순서대로 i, num 변수에 할당하고 print(i, num)을 실행합니다. 따라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0 1
1 2
2 3
3 4
4 5

 

enumerate() 함수와 함께 index와 요소를 사용하면 iterable 객체의 특정 요소에 접근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는 리스트의 각 요소에 10을 더한 값을 리스트에 저장합니다.

numbers = [1, 2, 3, 4, 5]  
for i, num in enumerate(numbers):  
    numbers[i] = num + 10 # numbers 리스트의 index가 i인 요소에 num + 10 값을 할당합니다.  
print(numbers)

이때 for loop 문은 enumerate(numbers)가 생성하는 튜플들을 순서대로 i, num 변수에 할당하고 numbers[i] = num + 10을 실행합니다. 이때 numbers[i]는 numbers 리스트의 index가 i인 요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1, 12, 13, 14, 15]

 

이상으로 파이썬에서 for loop 문과 index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for loop 문은 iterable 객체의 각 요소에 대해 코드 블록을 실행하는 기능이고 index는 iterable 객체의 각 요소가 위치한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 값입니다. range() 함수나 enumerate() 함수를 활용하면 for loop 문에서 index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dex를 사용하면 iterable 객체의 특정 요소에 접근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for loop 문과 index를 잘 활용하면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